상가건물 임대 기간 만료가 다가올 때 영업을 계속하기 위해 임대차계약의 기간을 연장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법률상 계약 갱신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계약기간 만료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 사이에 계약기간 연장을 요구하시면 임대인은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이를 거절하지 못합니다.
다만, 예외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지 유의하여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제10조(계약갱신 요구 등) ① 임대인은 임차인이 임대차 기간이 만료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사이에 계약갱신을 요구할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거절하지 못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임차인이 3기의 차임액에 해당하는 금액에 이르도록 차임을 연체한 사실이 있는 경우 2. 임차인이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임차한 경우 3. 서로 합의하여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상당한 보상을 제공한 경우 4. 임차인이 임대인의 동의 없이 목적 건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대(轉貸)한 경우 5. 임차인이 임차한 건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고의나 중대한 과실로 파손한 경우 6. 임차한 건물의 전부 또는 일부가 멸실되어 임대차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 7. 임대인이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로 목적 건물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철거하거나 재건축하기 위하여 목적 건물의 점유를 회복할 필요가 있는 경우 가. 임대차계약 체결 당시 공사시기 및 소요기간 등을 포함한 철거 또는 재건축 계획을 임차인에게 구체적으로 고지하고 그 계획에 따르는 경우 나. 건물이 노후ㆍ훼손 또는 일부 멸실되는 등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경우 다. 다른 법령에 따라 철거 또는 재건축이 이루어지는 경우 8. 그 밖에 임차인이 임차인으로서의 의무를 현저히 위반하거나 임대차를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있는 경우 ②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은 최초의 임대차기간을 포함한 전체 임대차기간이 10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만 행사할 수 있다. ③ 갱신되는 임대차는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계약된 것으로 본다. 다만, 차임과 보증금은 제11조에 따른 범위에서 증감할 수 있다. ④ 임대인이 제1항 기간 이내에 임차인에게 갱신 거절의 통지 또는 조건 변경의 통지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기간이 만료된 때에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본다. 이 경우에 임대차의 존속기간은 1년으로 본다. ⑤ 제4항의 경우 임차인은 언제든지 임대인에게 계약해지의 통고를 할 수 있고, 임대인이 통고를 받은 날부터 3개월이 지나면 효력이 발생한다. |
법률사무소 제이는 항상 의뢰인의 사건 해결을 위해서 고민하고 있습니다. 의뢰인에게 가장 신속하고 적합한 해결 방법을 찾아드리고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신뢰와 책임감 있는 자세로 함께 하겠습니다.
법률사무소 제이에서는 15분 무료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니, 방문 상담 예약 주시면 친절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 법률사무소 제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민사소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파잠실변호사] 코로나19 감염자에게, 회사가 손해배상 청구 (0) | 2020.06.04 |
---|---|
[송파잠실변호사] 불법행위로 피해자가 사망한 경우 손해배상청구: 임기가 정해진 직업에 종사하던 피해자의 일실수입 산정 방법 (0) | 2020.06.04 |
[송파잠실변호사] 상가건물을 임차하여 영업을 하고 있는 중인데, 건물이 경매에 부쳐진 경우 임차 보증금 돌려받는 방법 (0) | 2020.05.29 |
[송파잠실변호사] 코로나 19를 이유로 임대료를 깎을 수 있다?! 차임증감청구권 A to Z (0) | 2020.05.27 |
[송파잠실변호사] 코로나 확진 모녀에 대한 제주도의 손해배상 청구, 그 근거와 가능성 (0) | 2020.05.27 |